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건강, 다이어트51

미역의 놀라운 효능과 주의해야 할 부작용 미역은 우리나라 식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친숙한 해조류입니다. 특히 산모들의 산후 회복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오늘은 미역의 영양성분, 주요 효능, 그리고 주의해야 할 점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영양성분 분석생미역 100g 기준의 영양성분(출처-식품안전나라)영양성분함량열량18 kcal수분88.8 g단백질2.1 g지방0.2 g탄수화물5.0 g총 식이섬유1.3 g칼슘153 mg인21 mg철1.0 mg나트륨360 mg칼륨820 mg비타민 A308 μg RE비타민 C18 mg콜레스테롤0 mg미역은 특히 칼슘, 칼륨, 비타민 A와 C가 풍부하며, 저칼로리 식품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콜레스테롤이 없어 건강에 좋은 식품입니다. 미역의 주요 효능산모 건.. 2024. 10. 1.
면역력 강화를 위한 10가지 슈퍼푸드 : 바이러스 예방 자연의 힘으로 우리 몸을 지키는 방법일상 식단에 쉽게 추가할 수 있는 면역력 식품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과 면역력 강화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우리의 면역 체계는 신체를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방어 메커니즘입니다. 그리고 놀랍게도, 우리가 매일 섭취하는 음식이 이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1. 블루베리: 작지만 강력한 항산화 작용블루베리는 작은 크기에 비해 놀라운 건강 효과를 자랑합니다. 이 작은 보라색 열매에는 안토시아닌이라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블루베리의 효능:항산화 작용으로 체내 염증 감소면역 세포의 활동 촉진심혈관 건강 개선 2. 연어: 오메가-3연어는 오메가-3.. 2024. 9. 9.
[건강칼럼]뇌영양제를 먹으면 뇌기능이 개선되나요? 가장 무섭고 두려운 질병으로 많은 사람이 치매를 꼽는다. 이런 두려움은 뇌영양제 구입으로 이어지고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고 믿기도 한다. 뇌영양제가 정말 뇌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을까? 뇌기능을 유지하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요즘 자주 깜빡해요. 제 주변 친구들이 치매를 예방한다면서 뇌영양제를 먹고 있는데 저도 처방해주실 수 있을까요? 이처럼 기억력이 떨어지는 것을 걱정하며, 뇌영양제 처방을 상의하는 환자들이 종종 있다. 뇌기능 개선제, 또는 뇌영양제로 알려진 약은 ‘콜린알포세레이트’이다. 인터넷에서 콜린알포세레이트를 검색해보면, ‘뇌신경 손상으로 저하된 신경전달 기능을 정상화하고, 손상된 뇌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신경세포 기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나온다. 콜린알포세레이트는 치매 초기나 치.. 2024. 2. 23.
혈압관리의 정석 대부분의 사람들이 암보다 더 무서워하는 질병이 바로 고혈압입니다. 혈압이 높다고 특별한 증상은 없지만 갑작스러운 뇌중풍, 심장병의 주원인이 고혈압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의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이 바로 고혈압입니다. 혈압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인데요. 혈압 관리 방법에도 정석이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고혈압 환자수가 2018년 627만 5천명에서 2020년에는 671만 명, 2022년에는 725만 명으로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대한고혈압학회가 발표한 ‘고혈압 팩트 시트 2023’에 따르면 국내 20세 이상 성인 인구의 28%(1,230만 명)가 고혈압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혈압 환자가 늘면서 몇 년 새 20~30대 젊은 환자도 크게.. 2024. 2. 21.
살이 키로 간다? 연령에 맞게 성장하고 있는지 체크 살이 키로 간다? 연령에 맞게 성장하고 있는지 체크 ‘살이 키로 간다’, ‘남자는 군대 가서 큰다’와 같은 성장과 관련해 잘못된 정보를 아직도 믿는 보호자들이 있다. 소아청소년기의 성장에는 특징이 있으므로 이와 관련한 내용을 잘 숙지하고 시기에 맞게 성장하고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경제 수준이 향상되고 사회의 많은 부분이 세계화(globalization)되면서, 소아청소년의 건강 및 성장에 대한 관심이 부모님들뿐 아니라 아이들 자신들에서도 한층 높아졌다. TV, 인터넷 등 대중 매체를 통해 수많은 성장에 대한 정보들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됐지만, 오히려 과한 정보가 부모와 아이들을 혼란스럽게 한다. 예를 들어 남자아이의 경우 ‘군대 가서 큰다’라는 말이 통용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옛말이 됐다. 최근 한국 .. 2024. 2. 19.
반응형
LIST